올해는 무지성 적립식 투자 말고 소소하게 산업동향과 기업분석을 통한 투자도 해보자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목표였는데요.. 그 중 첫 스타뜨로 기업 재무제표.. 분석하는 방법.. 제가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내가 쉽게 정리하겠다X, 나한테 쉽게 정리하겠다 O)
목차
- 손익계산서 분석 - 기업 너 돈 얼마나 벌고있니?
- 재무상태표 분석 - 기업이 재정적으로 부실한지 확인하기
- 현금흐름표 분석 - 기업의 재정이슈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 정리 및 마무리
1. 손익계산서 분석 - 기업 너 돈 얼마나 벌고있니?
주요 항목
매출액/영업이익/당기순이익 -> 일단 높으면 좋다. 그치만 전반적으로 따져볼 필요는 있다.
손익계산서는 기업의 경영 성적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한 해 동안 얼마나 팔고 그 중에서 얼마나 남겨먹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매출액: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고 얻은 대가 (판매액*판매수량)
매출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 (원재료값 등)
-영업이익: 매출액 - 매출원가-판매비 및 관리비,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순이익
-당기순이익(순이익): 기업이 벌어들이는 모든 이익-기업이 쓰는 모든 비용, 모든 비용을 차감한 기업의 찐 순이익

그렇다면 이 세 항목을 어떤 관점에서 바라봐야하나
1) 매출액의 경우, 전년도나 전분기 대비 성장하고 있는지에 주목
일반적으로 매출액이 높아졌다면 판매가격이 전보다 높거나 판매수량이 늘어난 것이기 때문에 감소한 것보다는 증가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는 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2) 영업이익은 무조건 높을수록 좋다.
영업이익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순수익이기 때문에 무조건 높을수록 좋습니다. 판매를 높이거나 비용을 절감하는 등 기업이 얼마나 성과를 나타냈는지를 보여주는 직접적인 지표이기 때문에, 영업이익이 높다는 것은 해당기업이 좋은 성과를 보여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당기순이익은 높으면 좋지만, 낮다고 속단하긴 성급하다.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영업외적인 비용을 모두 차감하고 남은것이기 때문에, 물론 높으면 좋지만 낮다고 해서 그 기업의 성과가 안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당기순이익이 높다고 기업이 좋은 실적을 낸 것을 의미하는 게 아닐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배당을 받기 위한 투자를 하는 분들이라면, 보통 기업이 배당금 지급여부를 결정할 때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좀 더 유의미하게 지켜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지배/비지배)? 재무상태표를 보면, 당기순이익이 지배와 비지배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지배) : 모회사의 이익 + 모회사가 자회사를 지배하고 있는 경우, 자회사의 이익 중 지분 비율만큼의 이익, 모회사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이기 때문에 지배와 비지배로 나뉘어서 표시되어있다면 지배를 보시면 됩니다.
-당기순이익(비지배) : 자회사의 나머지 지분을 가진 외부 주주들의 몫
ex) A 모회사, B 자회사 (A가 60%보유)가 있다고 할때, A회사 당기순이익 = 10억, B회사 당기순이익 = 6억이라면 A회사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 = 10억 + 3.6억(6억*60%) = 13.6억원입니다.
2. 재무상태표 분석 - 기업이 재정적으로 부실한지 확인하기
주요항목
자산/부채/자본 -> 자산=부채+자본, 부채 비율에 주목하기! 보통 100%이하면 매우 안정적(일반적으로 낮으면 안정적)
재무상태표는 기업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 자본, 부채를 나타냅니다.
-자산: 기업에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것
쉽게 현금화 가능한 유동자산과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비유동자산으로 나뉩니다.
-부채: 기업이 진 빚입니다. 역시 1년 안에 상환해야되는 유동부채와 그 이후에 갚아도 되는 비유동부채로 나뉩니다.
-자본: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기업이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순수 자산입니다.

그렇다면 재무상태표에서는 무엇을 중점적으로 봐야할까요?
바로 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부채비율을 봐야합니다.
부채비율 = 총부채/자기자본 * 100%
-부채비율에 따른 재무구조 판단
부채비율 | 재무구조 |
100% 이하 | 매우 안정적 |
100~200% | 양호 |
200~300% | 주의필요 |
300% 이상 | 재무구조 개선 시급 |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낮을수록 좋지만, 업종별로 사업의 특성상 부채비율이 높은 업종(금융업, 중공업, 건설업)이 있다는 점도 인지해야합니다. 따라서, 동종업계와 비교했을 때 부채비율이 어떤지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현금흐름표 분석 - 기업의 재정이슈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현금성 자산의 변동을 기록한 것으로, 실제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 얼마가 들어오고 나갔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요항목
영업활동 현금흐름 +가 긍정적인 지표
투자활동 현금흐름 -가 긍정적인 지표
재무활동 현금흐름 +가 부정적인 지표
-영업활동 현금흐름: 기업의 영업활동으로 발생되는 현금흐름으로, +값이 이익, -가 손실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 되어야 좋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기업의 자산매입이나 투자활동 등으로 발생하는 현금흐름으로, -가 설비투자나 투자를 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지나친 투자는 수익성 관련 지표를 나쁘게 만들기 때문에 적당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기업이 부채상환 또는 배당금지급으로 발생하는 현금흐름으로, +값이면 자금조달을 위해 돈을 빌려온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4. 정리 및 마무리
어떤 기업에 투자할지 선별할 때, 기업에 관한 주요 재무정보와 경영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재무제표를 보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바로 적용해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겠지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봐야할지, 그것을 어떤식으로 해석해야할지 방향성은 잡힌 것 같습니다.
'이제 안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날짜가 텍스트 형식으로 되어있을때 숫자 변환법 (0) | 2025.03.19 |
---|---|
신한SOL 입출금 내역 알림 설정하는 법 (0) | 2025.03.12 |
트럼프정부 국내기업 첫 무역제재, 한국 중국 우회수출기지로 낙인 찍힐 우려 (1) | 2025.03.03 |
주식 거래에서 롱/숏 포지션이란? 숏커버링과 숏스퀴즈의 의미 (1) | 2025.03.02 |
한국은행 기준금리 '베이비컷', 경제성장률 '빅컷', 향후 한국 기준금리 방향은? (0) | 2025.02.27 |